컴퓨터 일반/IT용어122 C# C++의 컴퓨팅 파워와 비주얼 베이직의 프로그래밍 편이성을 결합하기 위 한 목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새로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 어. C++에 기반을 두고 Java와 비슷한 특색을 가지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의 .NET 플랫폼에서 쓰인다. 프로그래머가 각 단계별로 별도의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서도 프로그래밍 객체에 접근할 수 있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XML)와 단순 객체 접근 프로토콜(SOAP)의 사용을 통해 프로그래밍을 단순화한 것이다. 출처] 한국정보기술통신협회 : C#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의 봄 2022. 11. 21. C++ C 언어를 확장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AT&T 벨 연구소의 스트로스트럽(B. Stroustrup)이 1983년에 발표했다. C 언어 규격을 완전히 만족하여 그 확장 버전(++는 C의 증분 연산자를 나타낸다)으로 설계되어 있다. C++의 프로세스계는 C의 사전 처리기로 개발되기도 하지만 C++ 컴파일러도 있다. 이 언어는 스몰토크만큼 객체 지향 언어는 아니지만 C 언어와 호환성이 있기 때문에, 애플 컴퓨터 회사나 선 마이크로시스템스사 등 많은 벤더들이 채택하고 있다. 출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C++ 이미지 : 네이버(쉽게 배우는 소프트웨어 공학) C++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 2022. 11. 15. JavaScript(자바스크립트)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벤트나 입력 값을 받아 동적인 처리를 목적으로 고안된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HTML 문서에 내재되며, 브라우저에서 실행된다. 예를 들면, 마우스를 HTML 문서의 특정 이미지나 텍스트 위로 가져갔을 때 이미지 크기가 커지거나 텍스트의 색이 바뀌는 기능이다. 또 검색창 입력 박스에 ‘자’를 입력하면 현재 기준으로 사용자 검색이 많은 ‘자’로 시작하는 검색어 목록을 보여주는 기능도 자바스크립트로 구현한 것이다. 자바스크립트는 1995년 미국의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Netscape Communications)에서 처음 개발되었다. 자바스크립트 표준은 1996년 11월부터 유럽 컴퓨터 제조업.. 2022. 11. 8. JAVA(자바) 미국의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사가 개발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1995년 5월에 발표, 1996년 1월부터 정식 버전의 배포를 개시하였다. C++를 바탕으로 언어 규격을 규정하였다. 버그(bug)의 원인이 되기 쉬운 기능, 예를 들면 포인터 연산을 생략하였다. 또 C++에서는 사용이 끝난 객체(object)를 명시적으로 폐기하도록 프로그램에 기술하였으나 그 대신 자동 쓰레기 수집(garbage collection) 기능을 추가하였다. 이와 같이 메모리 관리의 오류로 기인되는 버그를 방지한다. 자바는 객체 클래스의 계승(inheritance) 관계를 실행할 때에 확정하는 동적 모델을 채용하였다. C++에서는 컴파일 시에 확정하기 때문에 상위 클래스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면 그 클래스와 계승 관계가 있는.. 2022. 11. 2. 파이썬(파이선, Python)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이 가능한 객체 지향 기반 인터프리터 방식의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 문법이 배우기 쉽고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서 프로그래밍 초보자에게 추천되는 언어이다. 1991년에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이 발표하였고, 좋아하는 코미디 프로인 에서 파이선이라는 이름을 가져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동체 기반의 개방적 개발 모델을 가지고 있으며, 파이선 소프트웨어 재단(Python Software Foundation)에서 관리한다. 문법 구조가 간단, 명확하고, 많은 시스템 호출과 풍부한 라이브러리(모듈), 다양한 윈도 시스템용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고 있어 생산성이 높은 강력한 언어이기도 하다. 반면 실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다른 프로그래밍.. 2022. 10. 26. C Language 1972년 Bell연구소의 데니스 리치가 만든 언어로 UNIX 운영체제를 만들기 위한 언어로 개발되었다. 컴파일러나 소프트웨어 개발용 도구로도 사용된다. C언어의 정신(C99 Rationale)] ▶ 프로그래머를 믿어라.(Trust the programmmer) ▶ 프로그래머가 작업을 못하게 방해하지 마라. (Don't prevent the programmer from diong what needs to be done) ▶ 언어를 작고 간단하게 유지하라.(Keep the language small and simple) ▶ 명령을 실행하는 방법을 하나만 제공하라.(Provide only one way to do an operation) ▶ 호환성은 장담할 수 없더라도 빨리 작동하게 만들어라. (Make i.. 2022. 10. 21. 지도형 기계 학습(Supervised learning, 지도 학습) 기계 학습 중 컴퓨터가 입력값과 그에 따른 출력값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어진 입력에 맞는 출력을 찾는 학습 방법. 지도형 기계 학습 모델은 입력된 문제에 대한 답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기계 번역, 상품 추천, 질병 진단 등에 응용될 수 있다. 학습 훈련 데이터(training data)로 입력과 출력이 같이 제공되는 상황을 문제(입력)의 답(출력)을 가르쳐 주는 것에 비유하여 지도형 기계 학습(이하 '지도 학습')이라고 한다. 예로, 개와 고양이 사진을 구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때 입력은 사진이고, 출력은 개 또는 고양이인지의 여부가 된다. 개인지 고양이인지의 여부가 기록된 사진을 이용해 지도 학습을 하며, 학습 결과는 훈련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사진을 구분하는 데 적용된다. 지도 학습에.. 2022. 10. 3. IPv4와 IPv6 ▣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버전 4 인터넷 프로토콜. 1981년에 발간된 IETF RFC791로 문서화 되어 있다. IPv4는 211.253.131.255와 같은 점-숫자 표기의 32-bit 주소 체계로서 고유 번호가 4,294,967,296로 제한되어 있어 128-bit 체계로서 거의 무한대라고 할 수 있는 IPv6로의 전환이 추진되고 있다. IPv4의 전송방식으로는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가 있다. ▣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4의 주소공간을 4배 확장한 128 비트 인터넷 주소 체계.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공간을 128 비트로 확장하여 주소의 개수를 크게 증가시키고 패킷 처리에.. 2022. 9. 26. 클라이언트와 서버 ▣ 클라이언트(Client) ① 객체 중심 프로그래밍에서, 관련이 없는 다른 클래스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떤 클래스(또는 그룹)의 멤버. ② 컴퓨터 처리에서 다른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요구하는 프로세스(프로그램 또는 태스크라고 할 수도 있다). 다른 프로그램에 내장된 소트 루틴(sort routine)을 요구하는 문서 처리기이다. 클라이언트 프로세스는 요구한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대편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자체에 대한 동작을 상세히 알 필요는 없다. ③ 구내 정보 통신망(LAN)상에서 다른 컴퓨터(서버)가 제공하는 망 공유 자원에 접속하는 컴퓨터. ▣ 서버(Server) 통신망상에서 다른 컴퓨터에 대하여 그 통신망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접속과 그 통신망의 자원(디스크 장치, 파.. 2022. 9. 21. 랜섬웨어(RansomWare) 컴퓨터 사용자의 파일들을 암호화하여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코드. 사용자 자료를 볼모로 돈을 요구하여 ‘랜섬(ransom)’이란 수식어가 붙었다. 인터넷 사용자의 컴퓨터에 잠입해 내부 문서나 스프레드시트, 그림 파일 등을 제멋대로 암호화해 열지 못하도록 만들고 이메일 주소로 접촉해 돈을 보내 주면 해독용 열쇠 프로그램을 전송해 준다며 금품을 요구하기도 한다. 사용자는 암호화된 컴퓨터를 포맷하여 공격자에게 대가를 지불하지 않기도 한다. 출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랜섬웨어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의 여름 2022. 8. 29. 신경망 교환 포맷(NNEF : Neural Network Exchange Format) 기계학습(ML : Machine Learning)에 사용하는 인공 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모델 정보를 서로 다른 학습 프레임워크에서 교환할 목적으로 만든 데이터 포맷. * 참고: 인공신경망 모델 정보에는 신경망의 구조, 신경망 내부 가중치 정보, 기존 포맷 정보 등이 있다. 인공지능(AI) 개발자는 인공지능 구현을 위하여 다양한 학습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신경망 교환 포맷(NNEF : Neural Network Exchange Format)은 텐서플로(TensorFlow), 케라스(Keras), 파이토치(PyTorch) 등 서로 다른 학습 프레임워크에서 동일한 인공 신경망 모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을 제공한다. 인공 신경망은 기계학습(M.. 2022. 8. 22. 심층 신경망(DNN : Deep Neural Network ) 입력층(input layer)과 출력층(output layer) 사이에 다중의 은닉층(hidden layer)을 포함하는 인공 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심층 신경망은 다중의 은닉층을 포함하여 다양한 비선형적 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그러나 학습을 위한 많은 연산량과 과하게 학습하여 실제 데이터에 대해 오차가 증가하는 과적합(overfitting), 기울기 값의 소실 문제(vanishing gradient problem)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000년대 이후 드롭아웃(drop-out), ReLU(Rectified Linear Unit), 배치 정규화(batch normalization) 등의 기법이 적용되면서 심층 기계 학습(deep learning)의 .. 2022. 8. 14. 이전 1 2 3 4 5 6 7 8 ···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