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일반/IT용어120

모달(Modal) 사람이 기계와 상호 작용하며 입출력에 사용하는 정보의 유형. 모달(modal)은 언어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형태’나 ‘유형’의 의미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음악 분야에서 모달은 특정 음계를 중심으로 음악을 구성하는 방식을 말한다. 언어학에서는 화자의 주관적인 태도와 판단을 표현하며 미묘한 뉘앙스를 전달하는 문법적 요소를 의미한다. 컴퓨팅 분야에서 모달은 사람이 기계와 상호 작용하며 입출력에 사용하는 정보의 유형이다.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마이크, 스피커, 카메라, 모니터 등과 같은 장치에서 입출력에 사용하는 텍스트, 음향, 이미지 등의 유형이 모달이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대화 상자(dialog box) 또는 팝업 창과 같은 UI 요소를 .. 2024. 11. 24.
큐싱(Qshing) QR코드와 피싱(Fishing)의 합성어인 큐싱은 QR코드를 이용한 해킹을 의미합니다. 코로나 19 이후로 QR코드 활용 문화가 확산이 되면서 QR코드 사기인 큐싱 범죄가 늘고있습니다. 기존의 피싱수법들이 사용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QR코드를 활용한 새로운 악성코드 유포, 개인정보 탈취 방식이 등장하였습니다. 파밍(Parmming)은 PC의 금융정보를, 큐싱은 스마트폰 금융정보를 노린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공격의 기본 요소는 해커가 이메일을 퍼뜨리는 공격과 다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QR코드의 경우는 시각적으로 구별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 하여 정상 QR코드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자료를 보면 69퍼센트의 사람들은 악성URL을 식별할 수 있었지만, 악성 QR코드는 오직 39퍼센트만이 식별할 수 있었.. 2023. 12. 20.
파밍(Pharming) 합법적으로 소유하고 있던 사용자의 도메인을 탈취하거나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이름을 속여 사용자들이 진짜 사이트로 오인하도록 유도하여 개인 정보를 훔치는 수법. 피싱(Phishing)에 이은 신종 인터넷 사기 수법이다. 기존 피싱이 금융 기관 등의 웹 사이트에서 보낸 이메일로 위장하여 링크를 유도해 개인의 인증 번호나 신용 카드 번호, 계좌 정보 등을 빼내는 반면, 파밍은 아예 해당 사이트가 공식적으로 운영하고 있던 도메인 자체를 탈취한다. 사용자들은 늘 이용하는 사이트로 알고 의심하지 않고 개인 ID, 패스워드, 계좌 정보 등을 노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 예방수칙 1. 사이트 주소가 정상인지 확인하고, 보안카드번호 전부는 절대 입력하지마세요. 2. 공인인증서, 보안카드 사진등을 컴퓨터나 이메일에.. 2023. 12. 12.
스미싱(SMiShing) 출처 : 반크_독도 휴대폰의 텍스트 메시지를 이용해 바이러스를 주입시켜 개인 정보를 빼내거나 다른 휴대폰으로 바이러스를 확산시키는 해킹 기법을 말한다.맥아피(McAfee) 시큐리티 소프트웨어 회사의 연구원에 의해 만들어진 용어로, SMS(Short Message Service)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다. 이 기법의 예를 들면, “당신은 우리 데이트 사이트에 회원 가입을 했습니다. 등록을 취소하지 않으면 하루에 2달러가 부과됩니다”라는 내용의 메시지가 많은 휴대폰 사용자들에게 날라오게 되는데, 여기에서 핸드폰 사용자들은 가입 취소를 위해 부득이 그 사이트로 가는 순간 바로 트로이 목마에 감염되는 해킹 수법 등이 보고되었다.더욱 놀랄 만한 트릭을 사용하는 공격적인 러시안 모바일 웜들의 새로운 변종.. 2023. 12. 7.
GPU(Graphics Processing Unit) 게임, 영상 편집 등에 필요한 그래픽스 처리나 기계 학습의 행렬 연산 등을 가속화하기 위한 병렬 연산을 수행하는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 원래는 그래픽스 가속기(graphics accelerator)라는 그래픽스 전용 카드 또는 처리 장치를 널리 이르는 표현이었다. 그래픽스 처리 기능이 하나의 프로세서에 통합되고 고속화와 병렬화가 진행되면서 그래픽스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or Unit)라는 용어로 사용된다. GPU는 1970년대에 비디오 게임기에 화면 처리를 해주기 위해 독립적인 하드웨어를 만든 것이 시초다. 1980년대 IBM PC에 도입되어 VGA, SVGA 등의 비디오 카드 또는 그래픽 카드로 불렸다. 1990년대에 들어서 3차원 게임 지원을 위한 기능이 발전되었고, 200.. 2023. 11. 17.
쿠버네티스(Kubernetes) 출처 : 반크_독도 클라우드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자동적으로 배포하고, 컨테이너들의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스케일링 등을 제공하는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은 컴퓨터 시스템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설정을 자동화하여 컴퓨팅 자원을 관리하고 조정하는 것으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은 컨테이너의 배포, 관리, 확장을 자동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가상 컴퓨터(VM)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애플리케이션을 가상화된 서버에 배포․실행 및 개발되어 CPU, 메모리 등 많은 자원을 사용하고 가상 컴퓨터를 기동할 때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가상 컴퓨터와 대비하여 소모 자원이 적고, 시동 시간이 짧은 컨테.. 2023. 11. 9.
에듀테크(EduTech) 출처 : 반크_독도 교육에 정보통신(ICT) 기술을 융합한 교육 기술. 에듀테크(EduTech)는 교육을 뜻하는 ‘Education’과 기술을 뜻하는 ‘Technology’가 합쳐진 말이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교육 콘텐츠를 전달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AI)이나 클라우드(cloud), 사물 인터넷(IoT), 모바일(mobile), 빅데이터(big data) 등을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수준별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자 만들어진 표현이다. 좁은 의미로는 현재까지 개발되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신기술뿐만 아니라, 미래에 개발되고 활용되는 기술을 포함한다. 넓은 의미로는 이 신기술을 교육에 적용함으로써 교육적인 효과를 높일.. 2023. 11. 3.
해시태그(Hashtag) #(샤프 기호)와 특정 단어(들)을 붙여 쓴 것으로, 해시태그는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에서 특정 핵심어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메타데이터의 한 형태이다. 예를 들어, '브라질 월드컵 축구'를 검색어로 하려면 '#브라질월드컵축구'로 표기하고, '월드컵'을 검색어로 하려면 '#월드컵'으로 표기한다. 출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해시태그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의 여름 2023. 10. 27.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제 캠페인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은 다국적 비영리단체인 '더 클라이밋 그룹(The Climate Group)' 주도로 2014년부터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졌다. 2050년까지 태양열, 태양광, 바이오, 풍력, 수력, 지열 등에 기반을 둔 재생에너지로 석유 화석연료를 100% 대체한다는 목표다. RE100은 정부 강제가 아니라 글로벌 기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진행된다. 연간 100기가와트시(GWh) 이상의 전력을 소비하는 기업이 대상이다. RE100 가입을 위해 신청서를 제출하면 더 클라이밋 그룹의 검토를 거쳐 가입이 최종 확정된다. 가입 후 1년 안에 이행 계획을 제출하고, 매년 이행 상황을 점.. 2023. 10. 19.
화이트박스 암호(WBC : White-Box Cryptography) 특수 암호화 정보 저장 기술 패스(PASS), 모바일 결제(mobile payment)시스템, 전자지갑(electronic wallet),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기타 금융기술(FinTech) 앱(App)의 주요 보안 수단으로 활용된다. 금융, 통신, 공공, 의료 등 다양한 앱과 중요한 정보·알고리즘을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차량용 블랙박스가 운송 수단 상태와 운행 내용을 기록하고 저장하는 것과 같이 암호 값을 저장한다는 데서 어원이 비롯됐다. 화이트박스 해킹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개인키(private key)가 암호화 알고리즘이 뒤섞인 상태로 화이트박스에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암호화 장치 내부 해킹을 시도해도 개인키나 알고리즘을 유추할 수 없다. 인증서 개인키뿐만 아니라 중요 로.. 2023. 10. 14.
크리덴셜(Credential) 정보 시스템의 특정 응용에서 사용하는 암호학적 개인정보. 크리덴셜(credential)은 신원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밀번호를 비롯해 공개 키 암호 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공개 키와 개인 키, 공인 인증기관이 발행하는 공개 키 인증서, 최상위 인증기관의 관련 정보와 인가 정보 등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데스크톱 및 노트북 컴퓨터, 개인용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기기의 특정 응용에서 사용한 크리덴셜을 다른 기기로 옮기는 작업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작업반에서 RSA 암호 알고리즘에 기반해 제정된 사실 표준인 공개키 암호 표준(PKCS: Public-Key.. 2023. 10. 5.
크롤링(Crawling) 다양한 정보 자원을 자동화된 방법으로 수집해서 분류 및 저장하는 것. 크롤링(crawling)은 웹 크롤링(web crawling) 또는 데이터 크롤링(data crawling)으로도 불린다. 웹의 다양한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데이터로 추출하기 위해 사용한다. 크롤링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SW)인 크롤러(crawler)는 웹페이지를 돌아다니며 어떤 데이터가 어디에 있는지 색인(index)을 만들어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한다. HTML 페이지에서 관련 하이퍼링크(hyperlink)를 찾아 데이터를 분류하고 저장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파이선(Python)을 크롤링 분야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 크롤링 기술이 악용돼 정보를 무단 복제하게 되면 지식재산권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크롤링으로 취득한 .. 2023. 9.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