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일반/IT용어

크롤링(Crawling)

by 건티 2023. 9. 20.
728x90

다양한 정보 자원을 자동화된 방법으로 수집해서 분류 및 저장하는 것.

크롤링(crawling)은 웹 크롤링(web crawling) 또는 데이터 크롤링(data crawling)으로도 불린다. 웹의 다양한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데이터로 추출하기 위해 사용한다. 크롤링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SW)인 크롤러(crawler)는 웹페이지를 돌아다니며 어떤 데이터가 어디에 있는지 색인(index)을 만들어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한다. HTML 페이지에서 관련 하이퍼링크(hyperlink)를 찾아 데이터를 분류하고 저장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파이선(Python)을 크롤링 분야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

크롤링 기술이 악용돼 정보를 무단 복제하게 되면 지식재산권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크롤링으로 취득한 콘텐츠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 또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웹페이지 운영자는 웹페이지에 로봇 배제 표준(robots exclusion standard)을 사용한다. 또는 메타 태그(meta tag)를 사용해 크롤러로 검색 색인이 생성되는 것을 차단한다.

유사한 개념으로는 SW를 통해 데이터 소스에서 데이터 자체를 추출하여 특정 형태로 저장하는 스크래핑(scraping)이 있다. 빅데이터 분석에서는 크롤링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가 어디 있는지 알아내고, 스크래핑을 통해 수집 및 저장해서 분석에 사용하는 등 기술을 결합하기도 한다.

크롤링을 활용하면 오프라인에서 직접 현장에 방문하고, 사람을 만나 수요 조사 및 설문 조사를 하는 등의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최근에는 금융권, 마케팅 기업을 비롯해 데이터 과학(data science)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KT의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출처=KT)

 

* 파이선(Python) :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이 가능한 객체 지향 기반 인터프리터 방식의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

 

 

 

출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최신 ICT 시사상식 2023) : 크롤링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의 가을

 

반응형

'컴퓨터 일반 > IT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이트박스 암호(WBC : White-Box Cryptography)  (0) 2023.10.14
크리덴셜(Credential)  (0) 2023.10.05
큐브위성(Cube Sat)  (0) 2023.09.15
초거대 인공지능(Hyperscale AI)  (0) 2023.09.07
양자 컴퓨터(Quantum Computer)  (0) 2023.09.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