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일반/IT용어136

모바일 운전면허증(Mobile Driver’s License) 도로교통법령에 따라 개인 스마트폰에 발급하는 운전면허증. 플라스틱 운전면허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지며 2022년 7월 28일부터 발급하기 시작했다. 공공기관, 은행, 렌터카업체, 공항, 병원, 편의점, 여객터미널, 통신사, 선거 등 기존에 운전면허증을 활용하던 모든 곳에서 모바일 운전면허증(mobile driver’s license)을 사용할 수 있다. 은행 금융 거래나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등 신분증 사본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 시스템이 준비된 곳에서만 쓸 수 있다. 시중은행 등 13개 은행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이동통신 3사 직영점에서는 사용할 수 있다. 정부와 공공기관은 사본 보관이 필요한 공공기관 일부 민원 업무에도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이용할 수 있도록 2023년 시스템 구축.. 2023. 5. 30.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 Mobile Edge Computing) 5세대(5G) 이동통신 또는 LTE망에서 기지국과 가까운 거리에 서버 등을 구축, 데이터 수집 현장에서 바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퓨팅 기술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은 멀티 액세스 에지 컴퓨팅(multi access edge computing)으로도 불린다. 통신망 종단 장치에서 수집 데이터를 바로 처리하고 연산 결과를 적용하여 지연 시간이 짧고 보안 측면에서 우수하다. 초대용량 데이터의 저장과 처리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5G 망에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적용하면 단말과 MEC 서버 간 통신 지연 시간을 수 밀리초(ms, 0.001초) 단위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커넥티드 카(c.. 2023. 5. 26.
메디컬 트윈(Medical Twin) 가상공간에 실물과 똑같은 쌍둥이 객체를 만들어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는 기술 ‘디지털 트윈’을 의료 분야에 적용한 것 의료계는 가상공간에서 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 모의 수술, 의료기기 개발, 임상시험 등을 시뮬레이션하는 등 메디컬 트윈(medical twin)을 통해 최상의 치료법이나 수술 방법을 찾아 실제 치료나 수술에 적용하고 있다. 디지털 공간에 가상 환자를 만든 다음 다양한 모의시험으로 최적의 수술 방법, 치료 효과, 예후 등을 예측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인 의료 데이터와 환자 특징을 토대로 디지털 공간에 가상 환자를 만든 뒤 질병이나 부상 정도에 따라 최적의 수술 방법과 처방 약물을 결정하고 치료 효과를 예측하며 수술 등 처방 이후 예후를 예측할.. 2023. 5. 19.
라우터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패킷에 담긴 정보를 분석, 적절한 통신 경로를 선택하고 전달한다. 에러를 처리하고 네트워크 보안 문제를 담당하기도 한다. 라우터(router)는 송신 정보에서 수신처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로를 지정해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주로 서로 다른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을 중계하거나 근거리 통신망을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에 연결할 때 사용한다. 인터넷에 접속할 때는 반드시 필요한 장비다. 장점은 유지·보수가 쉽다는 점이다. 통신 관리 방침에 따라 라우팅 방식을 결정해 전체 네트워크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정해진 표준에 맞춰 통신 방법이 자동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통신 방법에 구애받지 않기 때문에.. 2023. 4. 24.
뉴로모픽 공학( Neuromorphic Engineering) 뇌 속의 뉴런(neuron) 형태를 모방한 회로를 만들어 인간의 뇌 기능을 모사하는 공학 IBM, 인텔, 퀄컴 등 글로벌 컴퓨터·반도체 기업은 뉴로모픽 공학(neuromorphic engineering)에 앞다퉈 투자하고 있다. 소프트웨어(SW)로 뇌를 모사하는 것이 아니라 하드웨어(HW)로 생물의 신경계(뇌) 구조를 모방한다. 뉴로모픽 공학으로 구현한 칩과 회로를 뉴로모픽 칩(neuromorphic chip) 또는 회로라고 하며 뉴로모픽 컴퓨팅 등에 활용한다.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발전은 기존 연산 방식 및 기술의 한계를 보여 줬다. 인식, 추론, 판단 등을 반복해야 하는 작업에서 엄청난 전력을 사용하면서도 속도와 효율이 떨어졌다.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새로운 기술이 필요한 .. 2023. 4. 14.
6자유도(6DoF : 6 Degrees of Freedom) 강체(solid object)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로 3차원 공간에서 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3가지 움직임과 세 축과 평행하게 움직이는 3가지 움직임을 합하여 모두 6가지 독립적인 동작을 표현하는 방법. 6자유도(6DoF)는 강체가 움직일 수 있는 자유의 정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3차원 직각 좌표계에서 운동 물체의 상하 움직임(pitching), 수평 흔들림(rolling), 좌우 회전(yawing)의 세 가지 동작과 각 축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좌우 움직임, 앞뒤 움직임, 상하 움직임의 세 가지 동작을 합하여 모두 6가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자유의 정도를 표현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콘텐츠(digital content)의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시점을 임의로 변경할 .. 2023. 3. 28.
뉴로모픽 컴퓨팅(Neuromorphic Computing) 사람의 사고 과정 알고리즘과 비슷하게 작동하도록 모사한 컴퓨팅 방식. 뉴로모픽 컴퓨팅(neuromorphic computing)은 뇌 기능을 모사하기 위해 인간 신경계를 인공 뉴런과 시냅스로 구성하고 이진 신호(binary signals)가 아닌 스파이킹 신호(spiking signals)의 스파이킹 신경망(SNN)을 기존의 디지털 컴퓨터 소자와 다른 강유전체 FETs(Ferroelectric FETs) 등을 사용하여 연산과 메모리가 동시에 수행되는(in-memory compute) 에너지 효율적인 컴퓨팅 방식으로 80년대 말에 제안되었다. 기존의 폰 노이만 컴퓨터와 알고리즘, 아키텍처, 인코딩 스킴과 사용 되는 반도체 소자 등이 다른 컴퓨팅 방식이다. 뉴로모픽 컴퓨팅의 알고리즘은 폰 노이만(Von Ne.. 2023. 3. 20.
웹 3.0(Web 3.0) 웹 이용자들의 데이터, 개인정보 등이 플랫폼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소유하여 데이터에 대한 주권이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형태의 웹. 지금까지의 웹은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특정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는 개방형 국제 표준 기술로 이용자 접점에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는 중앙 집중 방식으로 구축되어 특정 사업자의 시장 우월적 지위를 활용한 개인 데이터의 독점과 오남용, 보안 취약점 노출, 불공정 거래, 후발 사업자 진입 제한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플랫폼 기업들의 시장 우월적 지위를 활용한 데이터 독점이 가속화되어 플랫폼 중심의 광고 및 서비스 수익을 플랫폼 사업자가 독점할 수 있는 수익 분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웹 3.0은 블록체인(blockchain) 등 분산화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 2023. 3. 13.
CSRF(Cross Site Request Forgery, 크로스 사이트 리퀘스트 변조) 세션 쿠키, SSL 인증서, 윈도 도메인 인증과 같이 자동으로 입력된 신뢰 정보를 기반으로 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신뢰 정보 내에서 사용자의 요청을 변조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권한으로 악의적인 공격을 수행하는 것. 웹 2.0 환경에서 전통적인 교차 사이트 스크립팅(XSS) 기반의 공격과 함께 매우 효과적인 공격 기법으로 선호되고 있으며, 자신이 공격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이 강력하다. 유명 경매 사이트인 옥션에서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사건에서 사용된 공격 방식 중 하나다. 출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CSRF 한국재정정보원(보안용어) : CSRF 네이버 지식백과 : 정보보안개론 CSRF 취약점 이미지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 2023. 3. 10.
ChatGPt(챗지피티) OpenAI가 2022년 11월 30일 공개한 대화 전문 인공지능 챗봇으로 OpenAI에서 만든 대규모 인공지능 모델인 'GPT-35'언어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OpenAI(openai.com)가 개발한 대화 전문 인공지능 챗봇으로, 챗은 채팅의 줄임말이고 GPT는 'Generated Pre-trained Transformer'의 앞 글자를 딴 것이다. 챗GPT는 사용자가 대화창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그에 맞춰 대화를 함께 나누는 서비스로, 공개 단 5일 만에 하루 이용자가 100만 명을 돌파하면서 돌풍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특히 질문에 대한 답변은 물론 논문 작성, 번역, 노래 작사·작곡, 코딩 작업 등 광범위한 분야의 업무 수행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AI와는 확연히 다른 면모를 보이고 있다. 챗.. 2023. 2. 27.
XSS(Cross Site Scripting) 출처 : 단체표준 TTAK.KO-12.0259 HTML5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암복호화 프레임워크 게시판, 웹 메일 등에 삽입된 악의적인 스크립트에 의해 페이지가 깨지거나 다른 사용자의 사용을 방해하거나 쿠키 및 기타 개인 정보를 특정 사이트로 전송시키는 공격이다. 출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XSS 이미지 : XSS 취약점(네이버 정보 보안 개론)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의 가을 2023. 2. 20.
웹쉘공격(Webshell Attack) 웹 서버에 명령을 실행하여 관리자 권한을 획득해 행하는 공격 방법. 웹 애플리케이션의 첨부 파일에 대한 부적절한 신뢰와 불충분한 점검으로 인해 악의적인 원격 공격 코드가 웹 서버로 전송, 실행되는 방법으로 관리자 권한을 획득한 후 웹 페이지 소스 코드 열람은 물론 서버 내 자료 유출, 비밀문 프로그램 설치 등 다양한 공격이 가능하다. 인터넷에 널리 유포되어 있는데 파일 업로드 취약점을 이용하며 서버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asp, cgi, php, jsp 등이 있다. 출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웹쉘공격 이미지 : 웹쉘 감염 사례 참고자료 : 웹해킹의 시작은 '웹쉘'로부터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의 여름 2023. 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