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일반/IT용어120

큐브위성(Cube Sat) 가로·세로 높이가 모두 10㎝ 이하, 질량이 1~2㎏ 수준인 초소형 인공위성. 일반적인 인공위성보다 작고 간단한 디자인과 높은 내구성이 특징이다. 규격이 정해져 있어서 발사체 하나로 큐브위성(cubesat) 여러 대를 발사할 수 있다. 기본적 설계가 공개 소프트웨어(OSS: Open Source Software)로 공개됐으며, 개발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높다. 개발·제작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어 대기업이나 국가가 아니라 중소기업, 대학, 연구소 등에서 다양한 프로젝트 참여가 가능하다. 크기가 작은 만큼 일반 인공위성에 비해 용도나 임무가 제한된다. 하지만 여러 대를 우주로 올려보내 동시에 넓은 범위를 커버하는 데 유리하다. 큐브위성 수십여 대를 네트워크로 연결해서 운용하는 방안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 2023. 9. 15.
초거대 인공지능(Hyperscale AI) 막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종합적 추론이 가능한 차세대 인공지능(AI) 기존 AI보다 수백 배 많은 대용량 데이터를 학습해서 마치 사람처럼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한다. 한 분야에만 특화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상황과 조건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특징이다. 사람의 뇌와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연산 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슈퍼컴퓨팅 인프라가 초거대 인공지능(Hyperscale AI) 등장의 토대다. 미국 AI기술 연구재단 오픈AI가 2020년에 선보인 자연어 처리모델 GPT-3(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3)가 대표적이다. GPT-3는 1,750억 개에 이르는 매개변수(parameter)로 학습했다. 기존 AI보다 사람 뇌에 더 가깝게 설계돼 사.. 2023. 9. 7.
양자 컴퓨터(Quantum Computer) 얽힘이나 중첩 같은 양자역학 현상을 활용하는 컴퓨터 양자 컴퓨터(quantum computer)는 양자역학 원리에 따라 병렬 처리가 가능한 미래형 컴퓨터로, 컴퓨터 계산력을 폭증시키고 확대하는 게 특징이다. 고전 컴퓨터가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풀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양자 컴퓨터는 비트 데이터 0과 1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단위는 비트(bit)가 아닌 큐비트(qubit)다. 에너지, 화학공학, 재료과학, 신약 개발 등 여러 산업을 혁신하고 정보보호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적 기업과 대학은 양자 컴퓨터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삼성전자와 LG전자를 비롯해 IBM,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인텔 등 글로벌 기업이 기술과 테스트, 서비스 .. 2023. 9. 1.
시각 특수효과(Visual Effects : VFX) 존재할 수 없는 영상이나 촬영 불가능한 장면, 실물을 사용하기에 문제가 있는 장면을 촬영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법 시각 특수효과(VFX: Visual Effects)는 영화·애니메이션 산업에 적용되는 영상 제작기법 가운데 컴퓨터그래픽(CG: Computer Graphics)에 바탕을 둔 모든 종류의 디지털 기법을 포함한다. 기술 발달로 카메라 트릭, 특수 분장, 미니어처, 화공 특수효과, 스턴트 등의 고전 특수효과는 디지털 기반 VFX로 대체되고 있다. 배우를 CG로 만든 디지털 배우로 대체하고 디지털 배우에 CG로 만든 형상을 부착하여 디지털 특수 분장을 완성하거나 CG로 모델링한 미니어처 모델과 실사를 합성해 거대한 미니어처 모델을 표현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글로벌 K-콘텐츠 열풍을 이끈 '킹덤', .. 2023. 8. 21.
수리할 권리(Right to Repair) 소비자가 자신의 제품을 스스로 수리하고 원하는 방식으로 개조할 수 있는 권리 언뜻 보면 당연하게 들리는 말이지만 전자제품에 대해서는 소유권이 자신에게 있는 제품이라 하더라도 '수리할 권리'(Right to Repair)가 제한된 경우가 많아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권리 보장을 법제화하기 위한 움직임을 가시화했다. 애플 아이폰은 '수리할 권리' 제한으로 소비자 불만이 많이 제기되는 대표 사례다. 애플은 이용자가 공인 서비스센터가 아니라 사설 수리업체를 이용한 이력이 있거나 직접 분해해서 수리한 경우 보증 대상에서 제외한다. 공인 서비스센터에서는 단순 부품 교체로 수리 가능한 경미한 고장도 리퍼(제품 교환)로 처리하거나 제한적으로 수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적지 않은 소비자 불만이 제기됐다. 미국에서는 2018년.. 2023. 7. 25.
센서 퓨전(Sensor Fusion) 복수의 감지 기술을 이용해 주변 환경에 대해 정확하고 믿을 수 있는 지도를 생성하는 기술. 색을 인지하는 유일한 기술인 카메라로 색 정보를 확보하고 매핑과 물체 속도는 라이다와 레이더를 통해 확보하는 등 상호보완이 가능한 센서들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융합해서 분석한다. 자율주행 차량 핵심 기술로 꼽힌다. 센서 퓨전(sensor fusion)은 자율주행 차량뿐만 아니라 2020년에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과 2022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활약하고 있는 드론의 핵심 기술로도 사용되었다. 통신기술과 함께 미래 전장 모습을 바꿀 정보통신기술(ICT)이다. 우크라이나는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에서 사용된 튀르키예제 바이락타르 TB2 드론을 2019년부터 도입해 전력화했다. 우크라이나가 보유한 TB2 드론은 20.. 2023. 7. 14.
서비스형 인공지능(AIaaS : AI as a Service) 기업이 제공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의 클라우드 기반 구독형 서비스 클릭 몇 번이면 퍼블릭 클라우드 기업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를 바로 쓸 수 있듯이 AI 기술·서비스도 동일한 방식으로 제공한다. 서비스형 인공지능(AIaaS : AI as a Service)은 기업 수요를 고려해 개발됐다. 기업은 서비스 경쟁력 강화와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해 AI를 활용하면 도움이 된다. 하지만 모든 기업이 AI를 자체 개발해서 활용하기는 어렵다. 전문가 부재, 데이터 과학(data science) 경험 부족, 데이터 모델 훈련의 어려움, 데이터 사일로(data silo) 현상 해결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과거 대비 다양한 데이터 형태도 AI 활용을 까다롭게 하는 원인이다. 따라서 자연어 처리(NL.. 2023. 6. 26.
사물정보통신 정보통신망을 통해 사물 정보를 수집·가공·저장·검색·송신·수신·활용하거나 사물을 관리·제어하는 방식으로 사물·사람을 상호 연결하는 활동과 수단을 총칭. 국내 사물인터넷(IoT) 산업 활성화와 기술 고도화, 글로벌 시장 선도를 위한 지능형 사물정보통신 진흥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IoT진흥법」) 제정안에서 정의한 용어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big data), 클라우드(cloud), 네트워크(network) 등 모든 신기술과 데이터를 사물인터넷(IoT) 기술로 연결하는 정보통신기술(ICT)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AI 기반의 사물정보통신은 '지능형 사물정보통신'으로 명명됐다. 정부나 기업 등의 정보 생산·유통·활용을 기반으로 「지능정보화 기본법」에 따른 지능 정보기술 등을 적용·융합, 효율화·.. 2023. 6. 9.
모바일 운전면허증(Mobile Driver’s License) 도로교통법령에 따라 개인 스마트폰에 발급하는 운전면허증. 플라스틱 운전면허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지며 2022년 7월 28일부터 발급하기 시작했다. 공공기관, 은행, 렌터카업체, 공항, 병원, 편의점, 여객터미널, 통신사, 선거 등 기존에 운전면허증을 활용하던 모든 곳에서 모바일 운전면허증(mobile driver’s license)을 사용할 수 있다. 은행 금융 거래나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등 신분증 사본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 시스템이 준비된 곳에서만 쓸 수 있다. 시중은행 등 13개 은행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이동통신 3사 직영점에서는 사용할 수 있다. 정부와 공공기관은 사본 보관이 필요한 공공기관 일부 민원 업무에도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이용할 수 있도록 2023년 시스템 구축.. 2023. 5. 30.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 Mobile Edge Computing) 5세대(5G) 이동통신 또는 LTE망에서 기지국과 가까운 거리에 서버 등을 구축, 데이터 수집 현장에서 바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퓨팅 기술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은 멀티 액세스 에지 컴퓨팅(multi access edge computing)으로도 불린다. 통신망 종단 장치에서 수집 데이터를 바로 처리하고 연산 결과를 적용하여 지연 시간이 짧고 보안 측면에서 우수하다. 초대용량 데이터의 저장과 처리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5G 망에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적용하면 단말과 MEC 서버 간 통신 지연 시간을 수 밀리초(ms, 0.001초) 단위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커넥티드 카(c.. 2023. 5. 26.
메디컬 트윈(Medical Twin) 가상공간에 실물과 똑같은 쌍둥이 객체를 만들어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는 기술 ‘디지털 트윈’을 의료 분야에 적용한 것 의료계는 가상공간에서 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 모의 수술, 의료기기 개발, 임상시험 등을 시뮬레이션하는 등 메디컬 트윈(medical twin)을 통해 최상의 치료법이나 수술 방법을 찾아 실제 치료나 수술에 적용하고 있다. 디지털 공간에 가상 환자를 만든 다음 다양한 모의시험으로 최적의 수술 방법, 치료 효과, 예후 등을 예측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인 의료 데이터와 환자 특징을 토대로 디지털 공간에 가상 환자를 만든 뒤 질병이나 부상 정도에 따라 최적의 수술 방법과 처방 약물을 결정하고 치료 효과를 예측하며 수술 등 처방 이후 예후를 예측할.. 2023. 5. 19.
라우터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패킷에 담긴 정보를 분석, 적절한 통신 경로를 선택하고 전달한다. 에러를 처리하고 네트워크 보안 문제를 담당하기도 한다. 라우터(router)는 송신 정보에서 수신처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로를 지정해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주로 서로 다른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을 중계하거나 근거리 통신망을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에 연결할 때 사용한다. 인터넷에 접속할 때는 반드시 필요한 장비다. 장점은 유지·보수가 쉽다는 점이다. 통신 관리 방침에 따라 라우팅 방식을 결정해 전체 네트워크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정해진 표준에 맞춰 통신 방법이 자동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통신 방법에 구애받지 않기 때문에.. 2023. 4.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