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일반/IT용어

로 코드(Low Code)

by 건티 2025. 4. 5.
728x90

최소한의 코드 작성으로 앱(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작업 방식.

말이나 몇 번의 클릭만으로도 직관적으로 개발이 이뤄지는 기법이다.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 기술이 없더라도 앱을 설계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단순 반복 작업을 줄여주는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지원 플랫폼이 등장한 것이다.

사회 전반에 형성된 디지털 전환 분위기와 클라우드 확산이 로 코드 시대를 앞당겼다. 디지털 전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소프트웨어(SW) 인력 수요가 폭증하면서 SW 개발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주목받았다. 중소벤처기업부가 2023년 7월에 중소벤처기업 187개 사를 대상으로 하여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75.4%가 SW 인력 채용과 유지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밝혔다.

글로벌 로 코드 플랫폼 기업 멘딕스에 따르면 로 코드 도입은 생산성을 최소 4배나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W를 하나 개발할 때 기존 방식으로는 정규직 개발자 5명이 필요하고 9개월이 소요되었다면 로 코드를 도입하여 제작 효율을 극단적으로 제고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핵심 업무나 조직의 요구사항을 잘 아는 비개발자 직원이 로 코드로 현업에 필요한 요구사항과 아이디어를 반영한 SW를 직접 만드는 사례도 나올 수 있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오라클, 세일즈포스 등 글로벌 주요 기업도 클라우드 기반의 로 코드 개발 도구를 출시했다. 국내에서도 여러 중소·중견기업이 이와 관련된 시장에 진출했다. LG CNS와 네이버 등의 대기업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로 코드 플랫폼을 선보였다.

 

 

 

출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최신 ICT 시사용어 2025) : 로 코드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의 여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