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이 자신만 가진 비밀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상대방인 확인자에게 비밀 정보를 알고 있음을 증명할 수 있는 암호화 체계.
중요한 정보 전달 없이 증명을 할 수 있어 영지식으로 명명됐다. 영지식 증명(ZKP: Zero-Knowledge Proof)은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 정보를 넘기지 않고도 증명을 가능하게 해 신원 확인 분야에서 주목 받는 기술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공공 분야 블록체인 집중 사업’으로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투표 시스템 확산 사업’을 추진한다. 2022년 10월에 「주민투표법」 개정으로 온라인 방식의 주민투표가 허용되어 이에 따라 온라인 투표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영지식 증명을 활용한다.
영지식 증명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온라인 투표 시스템에 적용된다. 정부는 투표 조작과 개표 조작, 비밀 투표 원칙 위배 등 온라인 투표에 대한 불신을 차단하기 위해 온라인 투표 시스템에 영지식 증명을 활용한다.
영지식 증명을 쓰면 암호키를 통해 투표 내용은 비밀로 하면서 해당 선거 유권자인지, 중복 투표는 아닌지 등을 따져 유효 투표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또 유권자가 누구인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투표 결과는 확인할 수 있다. 선거관리위원회 발표를 검증할 수 있는 영지식 증명을 별도로 만들어 개표 결과의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다.
온라인 투표의 단점인 투명한 투표 검증과 비밀 투표가 동시에 안 된다는 점을 영지식 증명으로 극복할 수도 있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투표 시스템 확산 사업’ 으로 규모가 큰 온라인 투표도 수용할 수 있는 성능을 확보하려고 한다.
출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최신 ICT 시사용어 2025) : 영지식 증명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의 겨울
'컴퓨터 일반 > IT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디지털 교과서(AIDT, Artificial Intelligence Digital Textbook) (0) | 2025.04.06 |
---|---|
로 코드(Low Code) (2) | 2025.04.05 |
공간 컴퓨팅(Spatial Computing) (2) | 2025.04.05 |
sLLM(smaller Large Language Model, 경량화 언어 모델) (1) | 2025.04.05 |
CLOVA X (2) | 2025.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