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특정 문제뿐 아니라 주어진 모든 상황에서 생각과 학습을 하고 창작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인공 지능 또는 이에 대한 연구.
인공 지능 연구의 궁극적 목표 중 하나이다.
현재 인공 지능 연구는 음성 인식, 바둑 등 특정한 문제에 대해서는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아직 사람과 같은 지능을 갖추지는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람과 대화하며 동시에 바둑도 둘 수 있는 인공 지능 에이전트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범용 인공지능은 컴퓨터로 사람과 같은 또는 그 이상의 지능을 구현하는 것을 의미하며 알파고(AlphaGo)처럼 특정 문제만을 해결하는 인공 지능을 좁은 인공 지능(ANI: Artificial Narrow Intelligence)이라 한다.
한편 범용 인공지능의 구현 가능성과 관련하여 많은 논쟁이 있으며 관련한 가설로 약 인공 지능(weak AI)과 강 인공 지능(strong AI) 가설이 있다. 약 인공 지능은 인공 지능 컴퓨터가 실제 지능이 있는 것이 아니라 지능이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라는 가설이며, 강 인공 지능은 인공 지능 컴퓨터가 실제로 지능이 있다고 보는 가설이다. 강 인공 지능 가설이 참임을 검증할 수 있는 컴퓨터를 강 인공 지능 컴퓨터라고 한다.
일부 인공 지능 연구자들은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진짜 사람 수준의 인공 지능을 연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출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AGI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의 봄
반응형
'컴퓨터 일반 > IT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모달(Multimodal) (0) | 2025.05.17 |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 (0) | 2025.05.09 |
인물 합성 기술(Deepfake) (0) | 2025.04.18 |
영지식 증명(ZKP, Zero-Knowledge Proof) (0) | 2025.04.07 |
AI 디지털 교과서(AIDT, Artificial Intelligence Digital Textbook) (0) | 2025.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