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Python 1000제333 Python 45제] 일어나서 잠들기 전까지 M분마다 1개씩 하루할당량 N개를 먹어야 하는 프로그램 출처 : 반크뉴스 문제] 무지는 일어나서 잠들기 전까지 M분마다 당근 1개씩 하루동안 총 N개를 먹어야 한다. 무지가 일어난 시간, 분과 당근을 먹어야 하는 간격 M분과 당근개수 N을 입력받아 하루동안 당근을 먹은 시간들을 출력하고, 먹어야 하는 만큼 먹지 못했다면 "Emergency!"를 출력한다. (단, 무지가 잠자리에 드는 시간은 항상 22시 정각이며, 잠자리에 드는 시간에는 당근을 먹지 않는다.) [입력 예시 1] 12 // 일어난 시간 0 // 일어난 분 180 // 당근 먹는 간격(분) 10 // 당근 갯수 [출력 예시 1] 12:00 Carrot Time! 15:00 Carrot Time! 18:00 Carrot Time! 21:00 Carrot Time! Emergency! [입력.. 2022. 4. 5. Python 44제] 두 정수를 입력하여 조건에 맞는 결과값 구하기 출처 : 반크뉴스 문제] 두 정수를 입력하여 입력된 정수의 각 자리수를 더한다. 각 자리수를 더한 값을, 입력한 정수와 곱한 뒤 출력 하시오. 입력예시 1) 입력1 : 18 입력2 : 3 출력예시 1) 출력 : 27 입력예시 2) 입력1 : 45 입력2 : 9 출력 : 81 참고풀이1] #두개의 정수를 입력한다. N1=int(input("입력 1 : ")) N2=int(input("입력 2 : ")) #입력된 정수 N1의 자리수를 구한다. Cnt=1 while Cnt 2022. 4. 1. Python 43제] 홀수, 짝수 구분하여 합과 개수 구하기 출처 : 반크뉴스 문제] 99까지의 정수 N을 입력하여 홀수인지 짝수인지 구별하시오. 이러한 구별 후 짝수이면 1~N까지의 짝수의 합을, 홀수이면 홀수의 합을 구하고, 더한 값의 총 횟수를 구하시오. 예시 1) 입력 : 9 출력 1) 출력 : 9(는)은 홀수입니다. 1~9까지 홀수의 개수는 5개입니다. 1~9까지 홀수의 합은 25입니다. 예시 2) 입력 : 14 출력 2) 출력 : 14(는)은 짝수입니다. 1~14까지 짝수의 개수는 7개입니다. 1~14까지 짝수의 합은 56입니다. 예시 3) 입력 : 159 출력 3) 1~99사이의 수를 입력하세요. 참고풀이] import sys #exit() #1~99사이의 정수를 입력한다. while True: N=int(input("입력 : ")) if 1 2022. 4. 1. Python 42제] n1, n2,m을 입력받아 n1~n2까지 한라인에 m개씩 출력하기 출처 : 반크뉴스 문제] n1과 n2, m을 입력으로 받고 n1과 n2 사이의 값을 출력하되 한 줄마다 m개씩의 숫자만 출력하여라 조건] 1. 항상 n1는 n2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2. n1과 n2사이의 숫자의 갯수는 m으로 나누어 떨어진다. [입력 예시1] 4 19 4 [출력 예시1]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입력 예시2] 10 40 10 [출력 예시2] 10과 40사이의 숫자의 개수는 10(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습니다. [입력 예시3] 39 10 5 [출력 예시3]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참고풀이] imp.. 2022. 3. 31. Python 41제] 최대값을 최소값으로 나눈 나머지 값 구하기 출처 : 반크뉴스 문제] 변수 n1, n2, n3에 양의 정수 값을 입력 받고, 최소값과 최대값을 구한다. 최대값을 최소값으로 나눈 나머지가 10보다 크면 "Big" 10이면 "Same" 10보다 작으면 "Small" 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예시 1] 3 12 20 [출력 예시 1] Small [입력 예시 2] 13 37 16 [출력 예시 2] Big [입력 예시 3] 11 27 65 [출력 예시 3] Same 참고풀이] #양의 정수 3개를 입력 받는다. n1 = int(input()) n2 = int(input()) n3 = int(input()) #최소값과 최대값을 구한다. Max=max(n1,n2,n3) Min=min(n1,n2,n3) #최대값을 최소값으로 나눈 나머지가 #10보.. 2022. 3. 30. Python 40제] 합격자 구하기 출처 : 반크뉴스 문제] S대학교는 수능 과목(국어, 수학, 영어, 탐구) 중 점수가 가장 높은 과목과 점수가 가장 낮은 과목의 평균을 계산해서 평균이 높은 순서대로 학생을 뽑는다고 한다. S대학교에 지원하려는 학생 2명의 수능 점수를 각각 입력받고 리스트에 저장한다. 합격자는 한명뿐이라고 할 때, 두 학생의 평균과 S대학교에 합격한 사람을 출력하시오. (단, 평균을 구할 때 소수점은 버리며, 동점일 경우 모든 과목의 점수의 합이 높은 사람이 합격한다.) [입력 예시 1] 90 -> 학생1 국어 점수 75 -> 학생1 수학 점수 80 -> 학생1 영어 점수 85 -> 학생1 탐구 점수 70 -> 학생2 국어 점수 100 -> 학생2 수학 점수 60 -> 학생2 영어 점수 90 -> 학생2 탐구 점수 [출.. 2022. 3. 29. Python 39제] 중앙값 출력하기 출처 : 반크뉴스 문제] N개의 자연수를 입력하여 중앙값을 출력하시오. 참고풀이] N=int(input()) #N개의 자연수 개수 입력 L=[] #N개의 자연수를 리스트에 입력 for i in range(N): InSu=int(input()) L.append(InSu) #입력된 자연수를 오름차순 정렬 L.sort() #입력된 자연수들의 중앙값 구하여 출력 if N%2==1: print(L[N//2]) else: print((L[N//2-1]+L[N//2])/2) 참고풀이 결과]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의 봄 2022. 3. 28. Python 38제] S대 5주차 과제(리스트에 값을 넣고 리스트 값 더하기) 출처 : 반크뉴스 참고풀이] #N개의 리스트 값을 입력받은다. print("\n입력 자료]") N=int(input()) P=[] for i in range(N): InSu=int(input()) P.append(InSu) #입력된 리스트 값을 하나씩 줄여가며 더하여 #출력 리스트에 저장한다. Q=[] for r in range(0,N): Sum = sum(P[r:N]) Q.append(Sum) #결과출력 print("\n결과 출력]") print(Q) 참고풀이 결과]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 2022. 3. 24. Python 37제] S대 9주차 과제(일의 자리와 십의 자리 바뀐 수로 짝수의 합 구하기) 출쳐 : 반크뉴스 참고풀이] import sys #exit() #0~99사이의 수를 입력한다. while True: N=int(input()) if 0 2022. 3. 24. Python 36제] S대 9주차 과제(김밥 계산하기) 출처 : 반크뉴스 참고풀이] #Main부분 KimBab=[0,3000,3500,4000] Cnt=[0 for i in range(5)] Sum=0 for i in range(5): Choose=int(input()) if 1 2022. 3. 24. Python 35제] N개 중에서 R개를 선택했을 때의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출처 : 반크_독도의 날 포스터 참고풀이1] 반복문 사용한 경우의 수 def Combination(n,r): #nCr = n!/(r!(n-r)!) numerator=1 #분자부분 for i in range(n,n-r,-1): numerator*=i denominator=1 #분모부분 for i in range(r,0,-1): denominator*=i #결과 result=numerator//denominator return result #main 부분 N=int(input("전 체 개수를 입력하시오 : ")) R=int(input("선택할 개수를 입력하시오 : ")) print(f"\n{N}C{R} = {Combination(N, R)}") 참고풀이1 결과] 참고풀이2] 재귀호출을 사용한 경우의 수 de.. 2022. 2. 22. Python 34제] 2021년 한국정보올림피아드 1차대회 중등부 2교시 1번:꿀따기 문제] 아래와 같이 좌우로 N개의 장소가 있다. 장소들 중 서로 다른 두 곳을 골라서 벌을 한 마리씩 둔다. 또, 다른 한 장소를 골라서 벌통을 둔다. 아래 그림에서 연한 회색의 장소는 벌이 있는 장소이고 진한 회색의 장소는 벌통이 있는 장소이다. 두 마리 벌은 벌통으로 똑바로 날아가면서 지나가는 모든 칸에서 꿀을 딴다. 각 장소에 적힌 숫자는 벌이 지나가면서 꿀을 딸 수 있는 양이다. 1. 두 마리가 모두 지나간 장소에서는 두 마리 모두 표시된 양 만큼의 꿀을 딴다. (벌통이 있는 장소에서도 같다.) 2. 벌이 시작한 장소에서는 어떤 벌도 꿀을 딸 수 없다. 위의 그림과 같이 배치된 경우 두 마리의 벌 모두 4 + 1 + 4 + 9 + 9 = 27의 꿀을 따서, 전체 꿀의 양은 54 가 된다. 위의 그.. 2021. 12. 9.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