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25

CLOVA X CLOVA X는 네이버의 초대규모(Hyperscale) 언어모델인 HyperCLOVA X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대화형 에이전트입니다. 사용자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며, 다양한 요청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고유의 기술력과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네이버 AI 윤리 준칙을 준수하여 만들어진 CLOVA X는 사용자와 대화하며 상호작용할 수 있는 새로운 차원의 대화형 AI 서비스입니다. (네이버 AI 윤리 준칙 관련한 자세한 정보는 '사람을 위한 CLOVA X 활용 가이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CLOVA X는 사용자의 생산성 향상을 도울 수 있고, 창조적 발상에 기여하며, 새로운 탐색 사용성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대화가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질문 검색으로 쉽게 찾.. 2025. 4. 4.
MCP(Model Context Protocol) 최근 앤트로픽( Anthropic)이 발표한 "Model Context Protocol(MCP)"은 인공지능(AI) 시스템과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연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표준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AI 모델이 비즈니스 도구 및 소프트웨어와 통합되도록 돕는 기술로, 기업의 데이터 활용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MCP는 애플리케이션이 LLM에 컨텍스트를 제공하는 방식을 표준화하는 개방형 프로토콜입니다. MCP를 AI 애플리케이션의 USB-C 포트라고 생각하세요. USB-C가 다양한 주변 기기 및 액세서리에 장치를 연결하는 표준화된 방식을 제공하는 것처럼 MCP는 AI 모델을 다양한 데이터 소스 및 도구에 연결하는 표준화된 방식을 제공합니다. ● MCP의 주요 내용 - MCP의.. 2025. 4. 4.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검색 증강 생성) ※대규모 언어 모델(LLM)에 쌓인 데이터와 별개의 외부 데이터를 이용해 답변 정확도를 높여주는 기술 캐나다 인공지능(AI) 기업 코히어(Cohere)의 패트릭 루이스(Patrick Lewis) 박사가 2020년에 발간한 논문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규모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의 최대 단점은 허위 정보를 제공 하거나, 과거 정보를 최신 정보처럼 속여 제공하는 ‘환각(hallucination)’이다. 환각 현상은 AI 시스템이 실제 데이터나 사실에 기반하지 않고 내놓는 허위 정보 생성 현상을 의미한다. LLM을 기반으로 한 챗봇은 신뢰할 수 없는 답변을 내놓으며 이용자를 혼란에 빠트린다. RAG는 이러한 LLM의 단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이용자의 프롬프.. 2025. 4. 3.
Gemini(제미나이) 구글이 공개한 차세대 대규모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 구글은 기존의 생성형 AI ‘바드(Bard)’를 업그레이드하고 ‘제미나이 (Gemini)’로 이름을 바꿨다. 제미나이는 ‘알파고’ 개발로 이름을 알린 딥마인드와 구글브레인이 통합하여 만든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에서 개발했다. 알파고의 아버지로 유명한 데미스 허사비스(Demis Hassabis)가 제미나이 프로젝트를 주도했다. 제미나이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영상, 음성을 이해하고 추론하는 멀티모달(multimodal) 기능을 핵심으로 내세웠다. 단순히 이미지를 파악하는 것을 넘어 물건 속성과 특징까지 파악해 이를 바탕으로 추론할 수 있다. 수학 문제를 풀거나 데이터를 분석·추론하는 능력을 갖.. 2025. 4. 2.
DNN(Deep Neural Network, 심층 신경망) 입력층(input layer)과 출력층(output layer) 사이에 다중의 은닉층(hidden layer)을 포함하는 인공 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심층 신경망은 다중의 은닉층을 포함하여 다양한 비선형적 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그러나 학습을 위한 많은 연산량과 과하게 학습하여 실제 데이터에 대해 오차가 증가하는 과적합(overfitting), 기울기 값의 소실 문제(vanishing gradient problem)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000년대 이후 드롭아웃(drop-out), ReLU(Rectified Linear Unit), 배치 정규화(batch normalization) 등의 기법이 적용되면서 심층 기계 학습(deep learning)의 .. 2025. 4. 1.
LLM(Large Language Model, 대규모 언어 모델) 대규모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자연어 이해와 생성 작업에 탁월한 성능을 보이는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모델. 대규모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은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세트를 활용하여 학습한 파라미터의 수가 매우 큰 모델로 문장을 이해하거나 새로운 텍스트를 생성하는 데 사용한다. 대규모 언어 모델은 수십억에서 수조 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있어서 과적합(overfitting)을 방지하고 우수한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대규모 데이터세트로 훈련되어야 한다. 대규모 언어 모델에 사용되는 학습 데이터세트로는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방대한 양의 책, 기사, 웹 사이트 등이 있다. 이들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수집(collection), 정제(cleansin.. 2025. 4. 1.
Python 341제] NCP Nextop Lv.1 구구단 출처 : 반크_독립_K푸드 문제]N을 입력받은 뒤, 구구단 N단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출력 형식에 맞춰서 출력하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1보다 크거나 같고, 9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출력형식과 같게 N*1부터 N*9까지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2 예제 출력 1  2 * 1 = 2 2 * 2 = 4 2 * 3 = 6 2 * 4 = 8 2 * 5 = 10 2 * 6 = 12 2 * 7 = 14 2 * 8 = 16 2 * 9 = 18 출처 : 백준_2739번 참고풀이]N=int(input()) if 1    for i in range(1,10):         print(f'{N} * {i} = {N*i}') 참고풀이 결과]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의 겨울 2025. 3. 28.
Python 340제] NCP Nextop Lv.1 최댓값 출처 : 반크_독립_K푸드 문제]9개의 서로 다른 자연수가 주어질 때, 이들 중 최댓값을 찾고 그 최댓값이 몇 번째 수인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9개의 자연수 3, 29, 38, 12, 57, 74, 40, 85, 61이 주어지면,  이들 중 최댓값은 85이고, 이 값은 8번째 수이다. 입력 첫째 줄부터 아홉 번째 줄까지 한 줄에 하나의 자연수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자연수는 100 보다 작다. 출력 첫째 줄에 최댓값을 출력하고, 둘째 줄에 최댓값이 몇 번째 수인지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3 29 38 12 57 74 40 85 61 예제 출력 1  85 8 출처 : 백준_2562번 참고]C언어 145제] 2007년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지역본선 초등부 1번 최댓값 참고.. 2025. 3. 28.
Python 339제] NCP Nextop Lv.1 윤년 출처 : 반크_독립_K푸드 문제]연도가 주어졌을 때, 윤년이면 1, 아니면 0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윤년은 연도가 4의 배수이면서, 100의 배수가 아닐 때 또는 400의 배수일 때이다. 예를 들어, 2012년은 4의 배수이면서 100의 배수가 아니라서 윤년이다. 1900년은 100의 배수이고 400의 배수는 아니기 때문에 윤년이 아니다. 하지만, 2000년은 400의 배수이기 때문에 윤년이다. 입력 첫째 줄에 연도가 주어진다. 연도는 1보다 크거나 같고, 4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윤년이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2000 예제 출력 1  1 예제 입력 2  1999 예제 출력 2  0 출처 : 백준_2753번 참고풀이]N=int(input().. 2025. 3. 28.
Python 338제] NCP Nextop Lv.1 최소, 최대 출처 : 반크_설과 대보름 문제]출처 : 백준_10818번 참고]C언어 159제] 동적메모리를 활용한 최대값, 최소값 구하기 참고풀이]N=int(input()) if 1    L=list(map(int, input().split()))     print(min(L), max(L)) 참고풀이 결과]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의 봄 2025. 3. 28.
Python 337제] NCP Nextop Lv.1 검증수 출처 : 반크_설과 대보름 문제]출처 : 백준_2475번 참고]C언어 142제] 2010년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지역본선 초등부 1번 검증수 참고풀이]L=map(int,input().split()) Sum=0 for d in L:     Sum+=d**2 print(Sum%10) 참고풀이 결과]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 2025. 3. 28.
Python 336제] 세종대 프로그래밍 언어 과제3 3번 주사위 게임 출처 : 반크_설과 대보름 문제]A와 B가 주사위 게임을 합니다. 주머니 속에는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주사위가 있습니다. 주사위는 A와 B가 번갈아 뽑습니다. 뽑은 주사위를 A와 B가 번갈아 던집니다. ​이때, 빨간색 주사위가 나오면 게임을 멈춥니다. 노란색 주사위가 나오면 주사위 숫자만큼 값을 누적합니다. 만약 주사위의 값이 1~6 사이가 아니라면 주사위를 다시 던집니다. 파란색 주사위가 나오면 주사위 숫자만큼 값을 뺍니다. 만약 주사위의 값이 1~6 사이가 아니라면 주사위를 다시 던집니다. A와 B 중 누적값이 30을 넘으면 게임을 중지합니다. ​A와 B의 누적값을 출력하고 어느 학생이 승리했는지 알려줍니다. (누적값이 작은 학생이 승리합니다.) ​ [입력 예시 1] yellow 1 2 yello.. 2025. 3.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