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일반/IT용어

사물정보통신

by 건티 2023. 6. 9.
728x90

정보통신망을 통해 사물 정보를 수집·가공·저장·검색·송신·수신·활용하거나 사물을 관리·제어하는 방식으로 사물·사람을 상호 연결하는 활동과 수단을 총칭.

국내 사물인터넷(IoT) 산업 활성화와 기술 고도화, 글로벌 시장 선도를 위한 지능형 사물정보통신 진흥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IoT진흥법」) 제정안에서 정의한 용어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big data), 클라우드(cloud), 네트워크(network) 등 모든 신기술과 데이터를 사물인터넷(IoT) 기술로 연결하는 정보통신기술(ICT)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AI 기반의 사물정보통신은 '지능형 사물정보통신'으로 명명됐다. 정부나 기업 등의 정보 생산·유통·활용을 기반으로 「지능정보화 기본법」에 따른 지능 정보기술 등을 적용·융합, 효율화·고도화한 사물정보통신이다.


사물정보통신은 5세대 이동통신(5G) 기반의 2개 이상 사물 간 초현실·초저지연·초연결을 구현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상에 존재하는 유무형 객체를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하여 개별 객체가 제공하지 못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물정보통신 개념을 담은 「IoT진흥법」 제정안은 더불어민주당,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통신·법률 전문가와 공동으로 마련했다. 제정안은 IoT 산업 진흥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체계화된 지원체계를 담았다.


2021년 4월 발의 이후 2022년 10월까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 계류 중인 제정안이 법제화되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도의 IoT 인프라 조성과 혁신 생태계 구현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불필요한 규제 완화와 안전한 IoT 기술·서비스 이용도 기대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진이 스마트 공장 내 이동형 로봇을 국산 5G 기술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제어하고 있다.(출처=ETRI)

 

 

 

출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최신 ICT 시사상식 2023) : 사물정보통신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