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일반/IT용어

화이트박스 암호(WBC : White-Box Cryptography)

by 건티 2023. 10. 14.
728x90

특수 암호화 정보 저장 기술

패스(PASS), 모바일 결제(mobile payment)시스템, 전자지갑(electronic wallet),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기타 금융기술(FinTech) 앱(App)의 주요 보안 수단으로 활용된다. 금융, 통신, 공공, 의료 등 다양한 앱과 중요한 정보·알고리즘을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차량용 블랙박스가 운송 수단 상태와 운행 내용을 기록하고 저장하는 것과 같이 암호 값을 저장한다는 데서 어원이 비롯됐다.


화이트박스 해킹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개인키(private key)가 암호화 알고리즘이 뒤섞인 상태로 화이트박스에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암호화 장치 내부 해킹을 시도해도 개인키나 알고리즘을 유추할 수 없다. 인증서 개인키뿐만 아니라 중요 로직까지 보호할 수 있다. 다른 저장 매체에 비해 운영 체제(OS)에 따른 개발과 관리가 용이하다.


기존 블랙박스 암호 기술의 경우에 원문과 개인키가 블랙박스 안에 들어 있어서 키 탈취가 가능한 점을 보완했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정보 유출 가능성이 커지면서 화이트박스 암호(WBC: White-Box Cryptography)가 등장하게 됐다.


본인 인증 시 화이트박스에서 사용자 인증이나 전자 서명이 진행된다. 예컨대 패스 앱에서 본인 인증 서명 요청이 발생하면 서명 데이터를 화이트박스에 넘긴다. 개인키가 화이트박스에 있어 거래 원문(서명 요청 값)을 모바일로 받아 화이트박스에 넣으면 서명 결과 값이 나온다.


패스 앱 외에도 전자 서명 서비스(PKI 기술 및 개인키 보호), 모바일 OTP(OTP 키 보호), 중요 정보 저장 매체에서 암·복호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및 관리 등에 사용된다.

 

이동통신사 통합 간편 본인 확인 서비스 PASS 인증 앱(출처 : SK텔레콤)

 

 

* 블랙박스 암호: 암호화 과정에 필요한 키가 디바이스 내부에 들어있는 형태의 기술

 

 

 

출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최신 ICT 시사상식 2023) : 화이트박스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독도

 

반응형

'컴퓨터 일반 > IT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시태그(Hashtag)  (0) 2023.10.27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  (1) 2023.10.19
크리덴셜(Credential)  (0) 2023.10.05
크롤링(Crawling)  (0) 2023.09.20
큐브위성(Cube Sat)  (0) 2023.09.15

댓글